K-HERO육성·지원사업
사업내용
-
지원목적
-
국가전략기술분야 우수R&D역량을 보유한 기업연구소를 발굴·중점 지원하여 미래신산업 창출 및 글로벌 시장 선도가 가능한 글로벌 최우수연구소(K-HERO*)로의 육성·지원
* K-HERO : Korea-Highest Excellence R&D Organization
-
국가전략기술분야 우수R&D역량을 보유한 기업연구소를 발굴·중점 지원하여 미래신산업 창출 및 글로벌 시장 선도가 가능한 글로벌 최우수연구소(K-HERO*)로의 육성·지원
-
지원대상
- 우수기업연구소로 지정된 기업부설연구소 및 「기업부설연구소 R&D역량진단 모델」에 따라 역량진단이 가능한 기업부설연구소
신청자격
「기업부설연구소 R&D 역량진단 모델」에 따라 구분된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중소·중견 기업
-
[참고1] 기업부설연구소 R&D역량진단 모델 개요
-
개발배경
R&D 역량을 진단함으로써 그 수준에 따라 수준별 역량강화 정책과 지원제도를 설계하고 기업은 R&D 전략수립에 활용
-
진단방법
기업 R&D 역량지표를 정의하고 업종 및 규모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
-
평가지표
4개 영역(R&D자원, 혁신활동, 혁신산출, 혁신성과)의 26개의 평가지표
-
- 가점지표 4개(+5)를 포함하여 총 105점 만점
- 평가지표: R&D 투자규모, R&D 집약도, 연구원 수, 연구기자재 수, 연구소 업력, 고급 연구인력 비중, 교육훈련비 비중, 신기술·신제품 인증 실적 등
기업부설연구소 R&D 역량 진단방법기업부설연구소/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(www.rnd.or.kr)에서 해당 연구소 그룹(R&D역량) 확인 가능
- <역량진단 - 역량진단결과>에서 기업 공동인증서 또는 인정번호로 로그인 후, [R&D역량 진단결과] 메뉴에서 확인
-
개발배경
-
[참고2] 기업연구소 R&D역량 진단모델에 따른 기업연구소(사업지원대상) 구분
기업연구소 R&D역량 진단모델에 따른 기업연구소 구분 리스트 : 구분, 내용 확인 구분 내용 성장형 연구소 상위 40% < R&D역량진단결과 ≤ 60% 도약형 연구소 상위 20% < R&D역량진단결과 ≤ 40%
지원규모
-
총 2개 내역사업으로 구성되어, 선정과제별 사전기획 및 R&D 지원
- 내역사업별 지원내용, 지원규모는 하단 표 참고
내역사업명 | 지원대상 | 지원내용/규모 | |
---|---|---|---|
글로벌 선도연구소 육성 | 우수기업연구소 |
|
|
기업R&D역략 강화 지원 2.0 |
우수기업 연구소 육성 |
성장형 연구소 |
|
기업연구소 보유역략 고도화 |
도약형 연구소 |
|
신청기간 및 방법
-
신청기간 :
2025년 2월 중~3월 중 예정
- 신청서류 확인 및 제출방법은 신청기간 내 KOITA 홈페이지 [공지사항]의 본 사업 공고문 참조
문의처
담당부서 |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혁신지원팀 |
---|---|
담당자 / 전화 |
|
|